본문 바로가기



04 GIS - QGIS에서 SHP파일 로드 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자동생성



공간 데이터의 관리와 분석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QGIS는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공간 데이터 처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PostgreSQL은 강력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PostGIS 확장을 통해 공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GIS와 PostgreSQL을 연동하여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QGIS와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기 위한 사전준비

먼저 Postgresql에 QGIS를 연동해서 공간데이터를 넣을 수 있도록 세팅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본 블로그의 [02 GIS - QGIS Postgresql연동 (tistory.com) ]를 참조하세요.

 

사용하려는 데이터베이스(DB)에 "CREATE EXTENSION postgis;"명령을 입력하여 postgis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postgis 확장명령

2. QGIS에서 Postgresql연결 

새연결
연결테스트 후 커넥션완료

3. QGIS에서 Postgresql연결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선택하고 [레이어/파일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 후 벡터레이어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미리 다운로드하여놓은 공간정보 파일세트의 확장자가 shp파일인 파일을 선택합니다.

만약 실습을 위한 공간데이터가 없다면 본 블로그의 [ 03 GIS - QGIS 쉐입데이터 가져오기 (tistory.com)] 를 참조해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시길 바랍니다.

shp파일 선택
데이터베이스 가져오기 성공

4. QGIS와 Postgresql에서 공간데이터가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공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형태로 가져오기가 성공하였습니다.

이제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고 QGIS에서 레이어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GIS에서 공간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로 포함된 모습
Postgresql에서 공간데이터가 테이블형태로 포함된 모습

 

이 포스팅이 공간 데이터 관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공간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분석을 위한 여정에 QGIS와 PostgreSQL이 좋은 동반자가 되어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