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CI 02. 오라클클라우드 oci환경에서 docker올리고 마리아db설치



 

오라클클라우드 oci에서 docker에 마리아 db를 설치하고 사용자를 추가 후 권한까지 부여해 보고 외부접속이 가능하도록 방화벽 포트오픈도 진행해 보겠습니다. OCI, 우분투, 도커에서 모두 방화벽이 오픈되어야 합니다.

 

1. mariaDB 다운로드

 

1. 마리아db다운로드

docker pull mariadb

 

 

2. docker에 마리아db설치

  • root계정 에서 사용할 패스워드 : pwd007
  • 도커 컨테이너 이름 : mariadb
  • os시작시 자동실행, 도커가 재부팅시 포함된 mariadb도 자동 시작되도록 옵션이 설정되었습니다.
  • 방화벽 매핑  - 마리아db포트 3306에 외부에서도 접속가능하도록 방화벽 포트허용 옵션이 설정되었습니다. 
  • 마리아db에서 외부접속설정을 하지 않아도 외부접속가능하도록 옵션이 설정되었습니다. 설정파일 변경이 필요었습니다.
  • 삭제했다가 다시깔아도 데이터를 보존해주는 외부볼륨 설정
sudo docker run --name=mariadb --restart=always -p 3306:3306 -v /your/volume/path:/var/lib/mysql -e MYSQL_ROOT_PASSWORD=pwd007 -e MYSQL_DATABASE=alphonse -e MYSQL_USER=alphonse -e MYSQL_PASSWORD=pwd007 -d mariadb

 

 

 

2. 우분투 방화벽 오픈

 

1. 우분투 리눅스의 방화벽 상태확인

sudo ufw status

 

 

2 방화벽이 활성화 되지 않았다면 아래 명령을 입력하고 방화벽을 활성화 하세요.

sudo ufw enable

 

 

3. 포트를 개방합니다.

sudo ufw allow 3306

 

우분투 재실행시 도커도 자동재실행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3. 마리아DB 초기설정

root권한으로 접속 후 {사용자계정:new_user, 패스워드:abc1234} 아래와 같이 모든권한을 부여받는 계정을 생성합니다.

CREATE USER 'new_user'@'%' IDENTIFIED BY 'abc1234';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_name.* TO 'new_user'@'%';
  •  도커재실행 - 도커재실행시 마리아db도 자동실행되도록 옵션을 줬으므로 즉 마리아db 재실행
     docker restart alphonse_mariadb
  • 방화벽 확인 docker 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