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basics 02] IntelliJ IDEA에서 Java 파일 실행 및 디버그 모드 활용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코드를 작성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실행과 디버깅입니다. 특히 Java 개발을 하면서 IntelliJ IDEA를 사용할 때, 이 두 가지 과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IntelliJ IDEA 환경에서 Java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과 디버그 모드를 활용하여 코드를 분석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초보 개발자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니,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1. Java파일 실행 및 디버그모드 실행하기

클래스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Run을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해당 클래스에 main함수가 존재해야 실행이 가능합니다.

실행하기

실행결과)

결과

 

디버그 모드실행도 Run메뉴 바로 아래에 존재합니다.

디버그모드로 실행하면 여러 가지 다양한 분석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버그모드 실행

 

상단의 메뉴 아이콘으로도 실행 및 디버그실행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단아이콘

// Scanner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java.util 패키지에서 Scanner를 가져옴
import java.util.Scanner;

// Main 클래스 선언
public class Main {
    // 메인 메서드 선언. 프로그램의 시작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변수 i를 선언
        Scanner s = new Scanner(System.in); // 새로운 Scanner 객체 s를 생성. System.in은 표준 입력(키보드)을 의미함
        System.out.println("숫자를 입력하시오:"); // 사용자에게 숫자 입력 요청 메시지 출력
        i = s.nextInt(); //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수를 변수 i에 저장
        recursive(i); // 입력받은 숫자를 인자로 하여 recursive 메서드 호출
        s.close(); // Scanner 객체 s를 닫음. 더 이상 입력을 받지 않음
    }

    // 재귀 함수인 recursive 메서드 선언. 정수 n을 매개변수로 받음
    static int recursive(int n){
        int i; // 변수 i를 선언
        if(n < 1){ // n이 1보다 작은 경우
            return 2; // 2를 반환
        }else{ // n이 1 이상인 경우
            i = (2 * recursive(n - 1)) + 1; // 재귀적으로 함수를 호출하여 결과에 2를 곱하고 1을 더한 값을 i에 저장
            System.out.println(i); // 계산된 i 값을 콘솔에 출력
            return i; // 계산된 i 값을 반환
        }
    }
}

디버그포인트 지정
첫번째 아이콘은 디버그포인트로 이동 두번째 아이콘은 한스텝씩 이동 좌측 히스토리리스트로 지나온 프로세스진행을 되돌리며 분석이 가능합니다.

 

변수나 변수식을 추가해서 추적이 가능합니다.

분석할 변수 추가

분석할 변수 추가

 

이제 여러분은 IntelliJ IDEA를 사용하여 Java 파일을 실행하고 디버그 모드에서 코드를 분석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빠르게 찾아내고,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디버그 모드를 통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집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자주 활용하여,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프로그래밍 여정에서의 성공을 기원합니다!